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지도사 2023년 2차 논술 문제(개인적인 답안)

by 안녕안녕~ 2025. 9. 29.
728x90
반응형

1. 구조물의 해체공사에서 대형브레이커 설치ᆞ사용 시 준수사항 5가지를 쓰시오.

  • 차체 지지력 초과 금지: 브레이커 선정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모체가 되는 굴착기 등 건설기계의 안정성 확보하는 것. 브레이커 자체 중량과 동적 충격하중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굴착기의 제원표에 명시된 차체 지지력을 초과하는 중량의 브레이커를 부착해서는 안된다.
  • 숙련된 작업자에 의한 설치 및 해체: 브레이커의 부착 및 해체 작업은 고압의 유압라인을 연결하고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 작업이다. 유압 호스의 오연결은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연결 핀의 불완전한 체결은 작업 중 브레이커의 이탈이라는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 주요 구조부의 수시 점검 및 보수: 브레이커는 강력한 충격과 진동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므로 주요 구조부의 피로 파괴나 손상 위험이 크다. 따라서 유압 작동부, 본체와 붐을 연결하는 핀과 부싱, 고압 호스 등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해야 함. 특히 유압 호스는 균열, 팽창, 누유 여부를 집중적으로 확인하여 파손으로 인한 유압유 비산 및 장비 정지를 예방해야 한다.
  • 해체 대상물에 적합한 형상의 노미 사용: 브레이커의 선단부인 노미(또는 정)는 그 형상에 따라 파쇄 효율과 작업 안전성에 크게 기여한다. 무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암반 등 해체 대상물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형상의 노미를 선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 작업 전 구조물 안전성 검토: 브레이커를 상층부 슬래브 등에 위치시켜 작업할 경우 장비의 중량과 작업 충격이 구조물에 직접적인 하중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슬래브나 보가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지 구조적 검토를 실시해야 한다.

2. 사업장에 설치하는 국소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 덕트(Duct)의 설치기준 5가지를 쓰시오.

  • 공기저항 최소화 구조(덕트 시스템의 효율은 압력 손실을 얼마나 줄이느냐에 달려있음)
  • 내부 돌기물 없는 평활한 구조(덕트 내부 마찰 손실은 표면의 거칠기에 비례하기에 돌기가 없는 평활한 구조가 적합)
  • 청소구의 설치(분진, 흄, 미스트 등 입자상 물질을 이송하는 경우 유속이 느려지거나 굴곡부 등에 물질이 퇴적가능하기에 청소할 수 있는 청소구 설치)
  • 견고한 고정 및 지지(덕트는 자체 무게와 내부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므로 파손 예방을 위한 견고한 고정 및 추가적인 지지대 설치 필요)
  • 접속부의 기밀성 유지(누설 시 흡입 풍량이 감소하고 포집 효율이 떨어짐)

3. 기계에 의한 굴착작업 시 작업 전에 기계의 정비상태를 정비기록표 등에 의해 확인하고 점검하여야 할 사항 3가지만 쓰시오. 

  •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기능(굴착기의 가장 치명적인 위험은 의도치 않은 움직임이기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점검)
  • 작업장치(버킷, 붐 등)의 기능(장치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유압시스템, 연결부에 유격이나 균열은 없는지 점검하고 특히 퀵 커플러의 잠금장치(안전핀)가 정상적으로 체결되고 작동하는지 확인 필요)
  • 경보장치 및 안전장치의 기능(운전자의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기 위해 후사경 및 후방영상표시장치 등의 안전장치의 정상작동 확인을 하고 낙하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헤드가드의 설치 상태도 점검해야 함) 

4. 콘크리트 타설작업에서 거푸집과 동바리의 존치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가지만 쓰시오.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표준시방서의 최소강도 규정)
    • 가장 직접적이고 핵심적인 요인
    • 표준시방서에는 부재의 종류에 따라 해체 가능한 최소강도 규정
    • 보, 기둥의 측면은 5MPa 이상현장에서 공시체의 압축강도 시험이나 비파괴 강도 추정시험을 통해 기준 강도 도달여부를 확인해야 함.
    • 슬래브 및 보 밑면은 설계기준강도의 2/3이상이면서 최소 14MPa
    • 표준시방서에는 부재의 종류에 따라 해체 가능한 최소강도 규정
  • 외기 온도 및 양생 조건(시멘트의 수화반응은 온도에 민감한 화학반응)
    • 시멘트의 수화반응은 온도에 민감한 화학반응
    •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빨라져 초기 강도 발현이 촉진되고 존치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
    • 반대로 온도가 낮으면(특히 10도 이하) 급격히 느려져 강도 발현이 지연
    • 수화반응에 필수적인 물의 증발을 막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습윤 양생은 강도발현에 매우 중요
  • 시멘트의 종류 및 배합(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강도 발현이 달라 존치기간을 단축시키기도 함)
    •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도 강도 발현 속도 결정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초기강도 발현이 빨라 존치기간을 단축
    • 고로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시를 혼합한 시멘트는 초기강도는 낮지만 장기강도가 우수
    • 물-결합재비(W/B) 또한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5. 철골공사에서 외압에 대한 내력 설계 검토대상 구조물 5가지만 쓰시오. 

  • 기둥(Columns)
    • 건물의 수직부재이며 상부 구조의 모든 수직하중, 수평하중의 축력과 휨모멘트를 기초로 전달하는 압축 부재
    • 좌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
  • 보(Beams/Girders)
    • 바닥이나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 부재
    •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설계
    • 보가 압축력을 받는 상부 플랜지는 횡방향으로 변형하려는 횡좌굴에 대한 저항능력을 가져야 함.
  • 가새(Bracing)
    • 수평하중(풍하중, 지진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부재
    •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 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
    •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통해 횡력에 저항하여 구조물의 강성을 증대
  • 주요 구조부의 접합부(Connections)
    • 기둥과 보, 보와 보, 기둥과 가새 등을 연결하는 접합부
    • 각 부재에 발생한 힘을 다른 부재로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
    • 접합부는 볼트나 용접을 통해 구성
    • 접합부의 파괴는 특정 부재를 넘어 전체 구조 시스템 붕괴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중요한 부재
  • 다이어프램(Diaphragms)
    • 바닥 및 지붕 구조 시스템은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역할 외 풍하중이나 지진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을 가새나 전단벽고 같은 수직저항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거대한 수평 보의 역할을 하며 이를 다이어프램이라고 함.
    • 철골조에서는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 슬래브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강재 보로 구성
    • 다이어프램의 강성과 내력은 수평하중을 효과적으로 분배하고 전달하는데 필수적

6. 강재구조물의 용접결함을 찾기 위해서 시행하는 비파괴검사법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비파괴검사법 종류 5가지를 쓰시오. 

  •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Test, RT)
  •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Test, UT)
  • 자기분말탐상검사(Magnetic Particle Test, MT)
  • 침투탐상검사(Penetrant Test, PT)
  • 육안검사(Visual Test, VT)

2) 비파괴검사법 종류 5가지 방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Test, RT)
    • X선 또는 감마선과 같이 투과력이 강한 방사선을 시험체(용접부)에 조사하는 원리를 이용
    • 방사선은 시험체를 통과하면서 일부 흡수하는데, 내부에 기공이나 슬래그 섞임과 같이 밀도가 낮은 결함이 존재할 경우 그 부분은 건전부에 비해 방사선이 더 많이 투과
    • 시험체 뒤에 놓인 필름은 투과된 방사선량에 따라 감광 정도가 달라짐
    • 현상 후 필름에는 결함 부위가 주변보다 더 어둡게 나타나는 2차원적인 그림자 영상이 기록
    • 필름을 판독하여 내부 결함의 종류, 크기, 위치를 평가
  •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Test, UT)
    • 고주파수의 초음파 펄스(Pulse)를 탐촉자를 통해 시험체 내부로 전파시키는 원리
    • 전파된 초음파는 재질이 균일한 매질 내에서는 직진
    • 균열, 용입불량과 같이 음향 임피던스가 다른 경계면(결함)을 만나면 반사
    • 초음파 신호는 다시 탐촉자로 수신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 후 브라운관이나 디지털 화면에 표시
    • 화면에 나타난 신호의 위치와 높이를 분석하여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
  • 자기분말탐상검사(Magnetic Particle Test, MT)
    • 철, 니켈, 코발트와 같은 강자성체 재료에만 적용가능한 방법
    • 전자기학적 원리를 이용
    • 시험체에 전류를 흘리거나 자석을 이용하여 강한 자기장을 형성시키면 내부에 자속(Magnetic Flux)가 흐르게 됨
    • 표면이나 표면 바로 아래에 균열과 같은 결함이 존재 시 자속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 일부가 결함 부위 바깥으로 새어 나옴
    • 새어나오는 자기장을 누설자장이라고 함
    • 시험체 표면에 미세한 철분(자분)을 도포하면, 누설자장에 자분 입자들이 달라붙어 결함의 형상을 시각적으로 파악 가능
  • 침투탐상검사(Penetrant Test, PT)
    • 모세관 현상이라는 물리적 현상을 이용하는 검사법.
    • 시험체 표면에 열려있는 미세한 결함 속으로 침투성이 강한 유색 또는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스며들게 함
    • 일정시간 경과 후, 표면에 남아있는 과잉의 침투액을 세척제로 깨끗이 제거
    • 백색 분말 형태의 현상제를 표면에 얇게 도포하면 결함 내부에 남아있던 침투액이 현상제 위로 흡수되어 빨려오면서 혈함의 위치와 크기를 확대된 형태로 뚜렷하게 나타남
  • 육안검사(Visual Test, VT)
    • 인간의 시각을 이용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
    • 검사자가 용접부의 표면의 상태를 관찰하여 언더컷, 오버랩, 표면 기공, 용접 비드 등의 형상 불량을 확인
    • 필요에 따라 돋보기, 용접게이지, 내시경 등의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정밀도 증대
    • 모든 비파괴검사에 앞서 반드시 선행

3) 비파괴검사법 종류 5가지의 특성을 각각 2가지만 쓰시오. 

  •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Test, RT)
    1. 필름이라는 영구적인 검사 기록 확보 가능하여 객관성이 높음
    2. 방사선 피폭 위험이 있어 안전관리 필요
    3. 미세한 균열 검출 감도가 낮음
  •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Test, UT)
    1. 균열과 같은 면상 결함에 대한 검출 감도가 매우 우수
    2. 결함의 깊이 측정이 정확
    3. 검사원의 높은 숙련도 요구
    4. 결과 해석이 주관적일 수 있음
  • 자기분말탐상검사(Magnetic Particle Test, MT)
    1. 표면의 미세 균열 검출에 가장 감도가 높음
    2. 검사 속도가 빠르며 경제적
    3. 강자성체(철, 니켈, 코발트) 재료에만 적용 가능
    4. 내부 결함은 검출 불가
  • 침투탐상검사(Penetrant Test, PT)
    1. 대부분 재료에 적용 가능
    2. 복잡한 형상의 시험체 검사 용이
    3. 표면이 열려있지 않은 내부 결함은 검출 불가능
    4. 검사 과정에 시간이 다소 소요
  • 육안검사(Visual Test, VT)
    1. 가장 신속하고 경제적
    2. 별도의 복잡한 장비 불필요
    3. 검사자의 주관에 따른 편차가 있음
    4. 미세하거나 내부 결함은 검출 불가

7. 건설현장에 발생하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개구부 등의 방호 조치(안전난간, 울타리, 수직형 추락방망 또는 덮개 등)시 준수해야 할 사항 3가지만 쓰시오. 

  • 구조적 강도 및 견고한 설치
    • 충분한 구조적 강도 필요
    • 안전난간(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난간 기둥으로 구성/모든방향에서 가해지는 100kg이상의 하중에 견딜 것)
    • 덮개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2개소 이상 고정
  • 법정 규격 및 치수 준수
    • 방호 조치의 효과는 그 규격에 따라 달라짐
    • 안전난간(바닥면으로 부터 90센티미터 이상 120센티미터 이하의 높이에 설치)
  • 임의 해체 금지 및 작업 후 원상복구
    • 해체 시에는 관리감독자의 허가를 받고 실시
    • 작업이 종료 된 즉시 원래의 상태로 견고하게 재설치하여 방호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함

2) 추락하거나 넘어질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 추락방호망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 설치 위치 및 수직거리 제한
    • 추락 시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추락 높이의 제곱에 비례
    • 추락방호망은 작업면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추락 높이를 줄이는 것
    • 산업안전보건규정에는 작업면으로부터 설치 지점까지지의 수직거리가 10미터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
  • 수평 설치 및 충분한 내민 길이 확보
    • 추락 시 망 바깥으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
    • 건물 또는 구축물의 외부로 설치 할 경우 벽면으로부터 망의 내민 길이를 3미터 이상으로 해야 함
  • 지지점의 충분한 강도 및 적정 간격 유지
    • 추락방호망의 지지점은 최소 6kN 이상
    • 설치구조의 안전성 확인은 10m 이내의 높이에서 80kg의 중량물을 낙하시켜 추락방호망의 상태 확인
    • 중앙부 처짐은 짧은 변 길이의 12% 이상이 되어야 함
    • 추락방호망의 길이 및 너비가 3m를 초과할 경우 3m 이내마다 같은 간격으로 테두리로프와 지지점을 달기로프로 결속
    • 추락방호망과 지지구조물 사이는 10cm 이하로 설치
    • 방망 그물코: 가로, 세로 10cm 이하
    • 테두리 및 달기로프 인장강도 15,000N 이상
    • 방망과 방망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는 겹침 폭을 75cm 이상으로 하고 로프로 겹침 폭의 중앙 위치에 방망의 그물코를 통과하여 로프와 방망을 재봉사 등으로 묶어 고정

  • 추락방호망 관리기준
    • 설치 후 3개월 이내마다 정기점검 실시하고, 방망이 손상, 파손된 경우에는 즉시 폐기
    • 사용상태가 비슷한 추락방호망이 다수 설치된 경우에는 5 개소 이상을 무작위 추출하여 점검하고 나머지 방망에 대한 점검은 생략할 수 있다.
    • 마모가 현저하거나 유해가스에 노출된 장소에 설치한 추락방호망은 수시로 점검을 하여야 한다.
    • 추락방호망 주변에서 용접이나 커팅 작업을 할 때는 용접불티 날림 방지 덮개, 용접 방화포 등 불꽃, 불티 등의 날림 방지조치를 하고 작업이 끝나면 방망의 손상 여부 점검
    • 방망에 적치되어 있는 낙하물 등은 즉시 제거
    • 추락방호망의 장기간 설치로 마모가 현저하거나 낙하물에 의한 충격 등으로 찢어지거나 파손된 방망은 즉시 교체하여야 한다.
    • 추락방호망을 설치하기 전에 다음의 표시 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1.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2. 제조 연월
      3. 안전인증번호
    •  

※ 다음 논술형 2문제 중 1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각 25점)
8. 다음 콘크리트교량 건설공법을 설명하고, 각 건설공법의 경제적 장점을 쓰시오. 

1) 동바리(완전 지보) 공법(FSM, Full Staging Method)

  • 설명
    • 지지대인 동바리를 설치하여 상부구조의 형상대로 거푸집을 제작
    • 그 위에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부구조를 완성
  • 경제적 장점
    • 초기 투자비용이 낮음
    • ILM의 런칭 장비나 MSS의 거대 갠트리 거더와 같은 고가 특수장비 불필요
    • 동바리 설치에 제약이 없는 단경간 또는 연장이 짧은 교량에서 설치하여 가장 경제적인 대안

2) 연속 압출 공법(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 설명
    • 교량의 시작점에 고정된 제작장을 설치하고 교량 상부구조를 약 15~30m 길이의 한 세그먼트 단위로 제작
    • 양생이 완료되면 PS강선을 이용하여 이전에 제작된 세그먼트와 긴장하여 일체화 시킨 후 유압잭으로 교축 방향으로 밀어내어 완성시키는 공법
  • 경제적 장점
    • ILM공법의 경제성은 반복 작업과 거푸집 전용틀 극대화에서 나옴
    • 단일 제작장에서 동일한 단면의 거푸집을 수십 회 이상 재사용하여 거푸집 제작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
    • 동바리가 없어 하부 지형의 제약이 거의 없음
    • 공정이 단순하고 반복적이여서 노무비 절감 및 공기 단축에 매우 유리

3) 캔틸레버 공법(FCM, Free Cantilever Method)

  • 설명
    • 교각 위에 먼저 주두부를 시공한 후, 그 위에 트래블러폼 양측에 설치하고 평형을 유지하면서 시공
    • 마치 나뭇가지가 뻗어 나가듯 교각을 중심으로 양쪽 상부구조가 확장
    • 경간 중앙에서 양쪽에서 진행해 온 상부구조를 키 세그먼트로 연결하여 경간 완성
  • 경제적 장점
    • FCM공법은 가설 동바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
    • 비경제적인 지역의 장경간 교량 건설에 가장 적합
    • 고가의 대형장비 없이 비교적 소규모의 트래플러 폼만이용하여 초기 투자비가 상대적으로 적음
    • 반복적인 사이클 공정으로 작업능률 향상 및 노무비 절감, 공기단축

4) 이동식비계 공법(MSS, Movable Scaffolding System)

  • 설명
    • MSS공법은 한 경간 전체를 한번에 타설할수 있도록 거대한 이동식 비계(Movable Scaffording)를 이용
    • 이동식 비계를 교각과 교각사이에 거치 한 후, 그 위에서 한 경간의 상부구조 전체를 현장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유압 장치를 이용해 비계 자체를 다음 경간으로 이동시켜 동일한 작업 반복
    • 주로 경간 구성이 유사한 다경간 연속 교량에 적합
  • 경제적 장점
    • 압도적인 시공속도
    • 장대교량에서 장비의 전용 횟수가 많아질수록 학습 효과가 더해져 공기가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간접비 절감
    • 교량의 규모가 커질수록 단위 길이당 공사비는 급격히 감소


5) 프리캐스트 세그멘트공법(PSM, Precast Segment Method)

  • 설명
    • 교량 상부구조를 구성하는 모든 세그먼트를 지상의 별도 제작장에서 고품질 콘크리트로 사전에 정밀 제작하는 공법
    • 완성된 세그먼트는 현장으로 운반 후 런칭 갠트리나 대형 크레인과 같은 가설 장비를 이용해 소정의 위치에서 조립
    • PS강선으로 긴장하여 일체화 함
    • 가설 방식에 따라 한 경간씩 조립하는 Span-by-Span 방식과 FCM과 같이 캔틸레버로 조립하는 Balanced Cantilever 방식으로 나뉨
  • 경제적 장점
    • 공장 생산을 통한 공기 단축과 품질 확보
    • 현장에서는 조립작업만을 수행하므로 전체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가능
    • 총 연장이 수 km에 달하는 초장대교량 프로젝트에서 다른 어떤 공법보다도 높은 경제성 발휘
공법 주 적용 경간장 시공 속도 경제적 장점 경제성 확보 조건
FSM ~ 30m 느림 저렴한 장비 비용, 낮은 초기 투자 교고가 낮고 지반이 양호한 단경간 교량
ILM 30m ~ 70m 보통 거푸집 전용률 극대화, 노무비 절감 동일 단면이 반복되는 다경간 연속교량  
FCM 60m ~ 250m 보통 동바리 불필요, 장경간 시공 가능 동바리 설치가 곤란한 해상, 계곡 교량
MSS 30m ~ 60m 빠름 압도적인 시공 속도, 공기 단축 경간 구성이 유사한 장대 연속교량
PSM 30m ~ 150m 매우 빠름 공장생산을 통한 공기 단축, 품질 균일 총 연장이 매우 긴 초장대교량 (규모의 경제)


9.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이동식 크레인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이동식 크레인의 종류 3가지만 쓰시오. 

  • 트럭 크레인(Truck Crane)
    • 일반 트럭 + 크레인 상부 선회체
    • 일반도로 주행 가능
  •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
    • 무한궤도를 주행장치로 사용
    • 약한 연약지반이나 지면이 고르지 못한 험지에서도 뛰어난 안전성을 발휘
    • 하중을 매단 상태에서 저속으로 이동하는 피킹 앤 캐리(Picking & Carry) 가능
  • 카고 크레인(Truck-mounted Crane/Cargo Crane)
    • 화물 운송용 트럭의 적재함과 운전실 사이에 소형의 접이식 크레인 장착
    • 자재를 스스로 싣고 목적지까지 운반후 스스로 내리는 트럭
    • 주로 소규모 자재의 운반 및 설치 작업에 사용

2) 이동식 크레인의 선정 시 고려사항 3가지만 쓰시오. 

  • 인양물의 제원과 크레인 성능의 적합성 검토
    • 화물의 최대 중량
    • 화물의 형상
    • 화물의 크기고려
    • 크레인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정격하중표를 검토하여 안전율 확보
  • 작업장 환경 및 지반 조건 분석
    • 크레인의 진입로 확보
    • 아웃트리거를 최대로 펼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유무
    • 총중량과 인양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지반의 지지력 검토
    • 작업 반경 내에 고압선, 인접 건물, 가설 시설물 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지도 사전에 파악
  • 법적 요구사항 및 장비의 안전성 확인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인증 여부
    • 정기적으로 안전검사를 받았는지 확인
    •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훅 해지장치 등 핵심적인 방호장치 작동 확인

3) 이동식 크레인의 작업 전 확인사항 3가지만 쓰시오.

  • 핵심 방호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과부하방지장치: 정격하중을 초과하면 경보음과 함께 상승 동작을 자동으로 멈춤
    • 권과방지장치: 훅 블록이 붐 선단에 충돌하는 것을 막는
    • 브레이크 및 클러치: 장비의 움직임을 즉시 멈추는
  • 와이어로프 및 줄걸이 용구의 상태 점검
    • 인양물과 크레인을 직접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줄걸이 용구는 인양 시스템의 가장 취약한 연결고리
    • 와이어로에 소선이 끊어지거나 꼬임, 마모, 부식 등 손상이 없는지 육안 확인
    • 인양물 고리에 거는 훅에는 줄걸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해지장치가 견고하게 부착
    • 샤클, 슬링 벨트 등 함께 사용하는 줄걸이 용구에 변형이나 손상은 없는지 꼼꼼하게 점검
  • 아웃트리거 설치 및 지반 상태 확인
    • 타이어식 크레인의 안정성은 아웃트리거의 견고함에 따라 결정
    • 아웃트리거의 받침판 아래에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목이나 철판을 깔아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