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지도사 2022년 2차 논술문제(개인적인 답안)

by 안녕안녕~ 2025. 9. 30.
728x90
반응형

1. 근로자의 추락위험방지를 위한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5가지를 쓰시오. 

  • 상부난간대 (90cm 이상 120cm 이하의 높이)
  • 중간난간대 
  • 발끝 막이판(높이 10cm 이상, 바닥면과 발끝막이판 사이의 틈새는 1cm 이하)
  • 난간기둥(25센티미터 이하로 설치할 경우 중간 난간대 생략 가능)(간격 2m 이내)
  • 상부 난간대와 중간 난간대는 지름 2.7센티미터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로 설치

2.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능 평가 시 고려해야하는 성능저하인자 5가지를 쓰시오. 

  • 염해
  • 탄산화
  • 동결융해
  • 황산염해
  • 알칼리 골재 반응

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지반 등의 굴착 시 위험방지를 위한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을 쓰시오. 

1) 보통흙의 습지 

  • 1:1 ~ 1:1.5

2) 보통흙의 건지

  • 1:0.5 ~ 1:1

3) 암반의 풍화암

  • 1:1.0

4) 암반의 연암

  • 1:1.0

5) 암반의 경암

  • 1:0.5


4. 건설기계 중 항타기 또는 항발기 조립 시 점검사항 5가지를 쓰시오. 

  • 본체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유무
  • 권상용 와이어로프, 드럼 및 도르래의 부착상태
  •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쐐기 장치 기능
  • 리더의 버팀 방법 및 고정 상태
  • 부속 장치 및 부속품의 강도 및 손상 여부

5. 철골공사에서 제3자의 위해방지를 위한 비래낙하 및 비산방지 설비 5가지를 쓰시오. 

  • 낙하물 방지망
    • 기능: 건물 외부로 수평에 가깝게 설치하여 고소 작업 중 떨어지는 자재나 공구 등을 받아내는 그물
    • 설치 기준
      1. 높이 10미터 이내 또는 3개층 마다
      2. 건물 외벽으로부터 수평거리 2미터 이상 돌출
      3. 수평면과 20도에서 30도 사이의 각도 유지
  • 방호선반
    • 기능: 합판이나 철판 등으로 견고하게 제작된 덥개형 구조물
    • 설치위치
      1. 공사장 주 출입구
      2. 자재 인양 지점 하부
      3. 인접 보도
    • 설치기준
      1. 최하단의 방호 설비로 상당한 충격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
  • 수직보호망
    • 기능
      1. 비계 또는 건물 구조체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그물망 또는 시트
      2. 비교적 작은 파편이나 먼지가 바람에 날려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
      3. 작업자의 시야를 안정시켜 안정감을 제공
    • 설치기준
      1. 강풍에도 견딜 수 있도록 비계 기둥 등 구조체에 견고하게 결속
      2. 망 사이 또는 망과 구조체 사이에 틈이 없도록
  • 방호울 및 방호시트
    • 기능
      1. 공사 구역 경계에 지상 레벨로 설치하는 가설 울타리 및 시트
      2. 관계자외 무단출입을 금하는 기능
      3. 공사 현장을 외부와 격리하여 분진 및 소음의 전파를 일부 차단
  • 방염포
    • 기능
      1. 용접, 용단, 연마 작업 시 발생하는 고온의 불티나 슬래그가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
      2. 불연성 재료의 포
    • 설치기준
      1. 유리섬유 등 불연재료로 제작
      2. 화기 작업 지점을 완전히 감싸 불티가 외부로 비산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

6. 해체공사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해체대상 구조물 조사사항 10가지를 쓰시오.

  • 구조 형식 및 제원: 철근콘크리트(RC), 철골(S), 철골철근콘크리트(SRC) 등 구조 형식, 층수, 높이, 연면적 등 기본 제원
  • 건축적 특성: 평면 구성, 내력벽 및 기둥 배치, 층고 등 건축 도면상의 특징
  • 구조 부재 정보: 기둥, 보, 슬래브 등 주요 부재의 단면 치수, 철근 배근 상태, 구조적 취약부
  • 부착 마감재: 외부 패널, 치장 벽돌, 내장재 등 해체 시 먼저 떨어져 나갈 위험이 있는 부재
  • 설비 계통: 전기, 가스, 수도, 통신, 소방 등 모든 설비 배관·배선의 종류, 경로 및 차단 지점
  • 건립 이력: 준공 연도, 과거 사용 용도 등 건물의 이력
  • 구조물 상태: 노후화 정도, 화재·지진 등 재해 피해 여부, 균열, 부식 등 구조적 결함 상태
  • 구조 변경 이력: 증축, 개축, 보강 등 하중 경로를 변화시켰을 수 있는 모든 변경 사항
  • 유해물질 현황: 석면, 납, PCB 등 법적으로 관리되는 유해물질의 존재 여부 및 위치, 물량
  • 해체 폐기물 계획: 예상 폐기물의 종류별 발생량 및 처리, 운반 계획

2) 부지상황 조사사항 5가지를 쓰시오.

  • 현장 여건: 해체 장비의 진입 및 작업 공간, 폐기물 임시 적치 및 처리 공간 확보 가능 여부
  • 주변 기반 시설: 인접 도로, 가공선로, 지하 매설물(상하수도, 가스관, 통신 케이블 등)의 종류, 위치 및 보호 대책
  • 인접 구조물: 주변 건물의 현황(구조, 용도, 이격거리) 및 공사 전 상태에 대한 정밀 기록
  • 민원 발생 가능성: 인근 주거지역, 학교, 병원 등 소음, 진동, 분진에 민감한 시설물 현황
  • 교통 및 통행인 관리: 주변 도로의 교통량, 통행인 동선 등을 파악하여 필요한 통제 및 우회 계획 수립

 

3) 해체공법의 종류 중 기계력에 의한 공법 5가지를 쓰시오.

  • 철제해머 공법: 크레인에 매단 무거운 쇠공(Wrecking Ball)의 충격 에너지로 구조물을 파괴하는 공법.
  • 대형 브레이커 공법: 굴삭기에 장착된 유압 브레이커(뿌레카)로 콘크리트 등을 타격하여 파쇄하는 가장 일반적인 공법.
  • 절단톱 공법: 다이아몬드 와이어쏘(wire saw)나 월쏘(wall saw)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나 철골 부재를 정밀하게 절단하여 순차적으로 해체하는 공법.
  • 전도 공법: 굴뚝이나 벽체 등 특정 구조물의 하부를 절삭하거나 약화시킨 후, 와이어 등으로 당겨 계획된 방향으로 넘어뜨리는 공법.
  • 발파 공법: 구조물의 핵심 지지부에 폭약을 설치하여 순간적으로 파괴함으로써 구조 전체를 제어된 형태로 붕괴시키는 공법.

 

4) 해체공법의 종류 중 유압력에 의한 공법 3가지를 쓰시오.

  • 압쇄기 공법: 굴삭기에 장착된 집게 형태의 유압 크러셔(crusher)로 콘크리트를 으깨어 파쇄하고 내부 철근을 절단하는 공법.
  • 재키 공법: 구조물 부재 사이에 유압잭(hydraulic jack)을 설치하고 확장시켜 부재를 밀어내거나 분리하는 공법.
  • 쐐기타입기 공법: 미리 천공한 구멍에 유압으로 작동하는 쐐기(wedge)를 삽입하여 확장시킴으로써 콘크리트나 암반을 균열, 파쇄하는 공법.

 

7. 콘크리트공사의 안전작업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거푸집 및 지보공(동바리) 설계(구조검토)시 고려해야할 하중 5가지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 연직하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무게(자중), 철근의 무게, 거푸집 자체의 무게와 더불어 작업자, 장비, 자재 등 시공 중에 가해지는 활하중을 포함
  • 수평하중: 풍하중, 지진하중과 같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수평력과, 경사진 거푸집이나 장비의 이동 및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 수평력을 포함
  • 콘크리트 측압: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유체처럼 거동하며 거푸집 측면에 가하는 수평 압력이다. 측압의 크기는 콘크리트 타설 속도, 온도, 배합, 다짐 방법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기둥이나 벽체 거푸집 설계 시 가장 중요한 하중 요소
  • 편심하중: 슬래브 거푸집의 한쪽에 콘크리트를 집중적으로 부어 놓는 경우와 같이 하중이 불균등하게 작용하여 특정 부재에 과도한 응력을 유발하는 하중이다. 이는 구조물의 불안정성을 초래
  • 기타 시공하중: 콘크리트 펌프의 압송 시 발생하는 충격, 바이브레이터 사용 시의 진동 등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적 하중 및 충격 하중을 고려

 

2) 거푸집 등을 조립할 때 준수사항 5가지를 쓰시오.

  • 조립도 준수: 모든 거푸집과 동바리는 사전에 구조 검토를 거쳐 승인된 조립도에 따라 정확하게 조립해야 한다.
  • 견고한 기초: 동바리는 침하 우려가 없는 단단하고 평탄한 지반 위에 설치해야 하며, 지반이 약할 경우 깔판이나 깔목을 설치하여 하중을 충분히 분산시켜야 한다.
  • 수직도 및 수평 긴결재 설치: 모든 동바리는 수직으로 설치해야 하며, 좌굴이나 수평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연결재와 가새를 조립도에 따라 견고하게 설치해야 한다.
  • 견고한 연결: 거푸집 패널, 동바리, 긴결재 등 모든 부재 간의 연결은 전용 핀, 클램프, 볼트 등을 사용하여 풀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체결해야 한다.
  • 부상 및 변위 방지: 곡면이나 경사 거푸집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 시 부력에 의해 떠오르거나(부상)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조치를 해야 한다.

 

3) 펌프카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 시 안전수칙 준수사항 5가지를 쓰시오.

  • 안정적인 장비 설치: 펌프카는 수평이고 단단한 지반에 설치해야 한다. 아웃트리거는 최대로 펼치고 그 하부에 견고한 받침목(깔판)을 고여 장비의 전도를 방지해야 한다.
  • 작업 전 점검: 작업 시작 전 펌프 배관, 호스, 클램프 연결부 등의 마모나 손상 여부를 점검하고, 모든 연결부가 안전하게 체결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 고압선 이격거리 확보: 붐(boom)을 전개하거나 조작할 때, 주변 가공전선과의 법적 안전 이격거리를 반드시 확보하여 감전 재해를 예방해야 한다.
  • 말단 호스 견고히 파지: 콘크리트 타설 중 압력 변화로 인해 배관 끝의 호스가 심하게 요동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항상 두 손으로 견고하게 잡고 작업해야 한다.
  • 안전한 배관 청소: 타설 완료 후 압축공기나 물을 이용한 배관 청소는 매우 위험하다. 배관 출구 전방에 사람이 없는지 확인하고, 안전 케이지 등을 설치한 후 정해진 신호에 따라 작업해야 한다.

 

8. 흙막이공법 작업 시 안전 계획 및 관리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흙막이공법 선정 시 고려사항 5가지를 쓰시오.

  • 지반 조건: 흙의 종류(점토, 모래 등), 강도, 지층 구성, 지하수위 등 지반 공학적 특성이 공법 선정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작용 토압의 크기와 히빙(heaving), 보일링(boiling)과 같은 저면 파괴 현상의 발생 가능성을 결정한다.
  • 굴착 규모 및 형상: 굴착의 깊이와 평면적인 넓이. 예를 들어, 깊고 좁은 굴착에는 버팀대(strut) 방식이 유리할 수 있고, 넓은 대지에서는 어스앵커(earth anchor) 방식이 작업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 주변 환경 조건: 인접 건물의 노후도 및 기초 형식, 지하 매설물의 종류와 위치, 도로 등 주변 구조물의 중요도와 이격거리. 주변 지반의 변위를 최소화해야 하는 도심지 공사에서는 강성이 높은 흙막이 벽체(예: 지하연속벽, 주열식 현장타설말뚝)를 선정해야 한다.
  • 시공성 및 공기: 대형 장비의 진입 가능 여부, 자재 수급의 용이성, 소음·진동에 대한 민원 발생 가능성 등 시공 현장의 제약 조건과 전체 공사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 경제성: 흙막이 벽체, 지보공, 차수 공법 등을 포함한 직접 공사비뿐만 아니라, 주변 구조물 피해 복구비 등 잠재적 위험 비용까지 고려한 총비용을 기준으로 경제성을 평가해야 한다.

 

2) 흙막이 및 굴착공사 계측기의 종류 10가지를 쓰시오. 

계측기명 Instrument Name 측정 목적 및 적용(Measurement&Purpose/Application)
지중경사계 Inclinometer 흙막이 배면 지반의 수평 변위를 깊이별로 측정하여 벽체의 변형 형태와 안정성 평가
지하수위계 Piezometer
Water Level Meter
굴착에 따른 주변 지하수위 변화 및 벽체 배면의 간극수압을 측정
하중 Load Cell 버팀대나 어스앵커에 실제로 작용하는 축력(하중)을 측정하여 설계값과 비교
변형률계 Strain Gauge 흙막이 벽체나 버팀대 등 주요 부재의 변형률을 측정하여 응력 상태 간접적으로 파악
지표침하계 Surface Settlement Point 흙막이 배면 지표면의 침하량을 측정하여 주변 지반의 안정성 확인
건물경사계 Tiltmeter 인접 건물의 기울기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굴착으로 인한 부등침하 영향 파
균열측정기 Crack Gauge 인접 건물에 발생한 균열의 폭 변화를 측정하여 손상 진행 여부 감시
진동 및 소음측정기 Vibration & Noise Monitor 굴착 및 장비 운행 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지 감시
수직변위계 Extensometer 지중 깊이별 침하량 또는 융기량을 측정하여 지반의 연직 방향 거동 분석
토압계 Earth Pressure Cell 흙막이 벽체에 실제로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여 설계 토압과 비교

3)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

  • 부재의 상태: 띠장, 버팀대, 흙막이판 등 주요 부재에 손상, 변형, 부식, 위치 이탈 및 탈락이 발생했는지 육안으로 점검한다.
  • 버팀대의 긴장 상태: 버팀대가 설계된 축력을 제대로 받고 있는지, 너무 느슨하거나 과도한 압축으로 휘어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온도 변화나 지반 변위로 인해 긴장 상태가 변할 수 있다.
  • 연결부 상태: 부재와 부재가 만나는 접속부, 부착부, 교차부의 볼트나 용접부에 풀림이나 파손이 없는지 확인한다.
  • 침하 정도: 흙막이 지보공 자체 또는 주변 지반의 침하 여부를 확인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9. 시스템 동바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지주 형식 동바리 시공 시 준수사항 8가지를 쓰시오.

  • 조립도에 따른 설치: 반드시 구조계산에 의해 작성된 시공 조립도에 명시된 부재, 간격, 설치 순서를 준수하여 조립해야 하며 임의적인 부재 생략이나 간격 변경은 금지
  • 견고한 기초 지반 확보: 동바리 하부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평탄하고 단단한 지반이어야 한다. 지반이 연약할 경우, 각목이나 강재 깔판(sole plate)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침하를 방지
  • 받침 철물(잭)의 올바른 사용: 최하단 수직재와 받침 철물(잭 베이스), 최상단 수직재와 U헤드 잭은 서로 밀착시켜야 한다. 수직재와 받침 철물의 겹침 길이는 받침 철물 전체 길이의 3분의 1 이상 확보하여 좌굴을 방지
  • 수직·수평도 유지: 모든 수직재는 연직을 유지하고, 수평재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잭을 조절하여 설치한다. 기울어진 부재는 편심 하중을 유발하여 안정성을 크게 저하
  • 부재 간 직교 체결: 수평재는 수직재와 직각으로 설치하고, 전용 연결핀이나 클램프를 사용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해야
  • 가새재 설치: 수평력에 저항하고 전체 구조물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립도에 명시된 위치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가새재를 반드시 설치
  • 단일 시스템 부재 사용: 서로 다른 제조사의 부재를 혼용하여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변형, 부식, 심한 손상이 있는 불량 부재는 즉시 폐기하고 사용을 금지
  • 하중의 중심 배치: U헤드 위에 멍에재를 설치할 때, 하중이 수직재의 중심에 작용하도록 정확히 중앙에 배치해야 한다. 편심 하중은 수직재의 내력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주된 원인

 

2) 보 형식 동바리 시공 시 준수사항 5가지를 쓰시오.

  • 충분한 걸침 길이 확보: 보 형식 동바리의 양단은 지지물(벽체, 보 등) 위에 설계 도서에 명시된 충분한 길이만큼 걸쳐져야 한다. 걸침 길이가 부족하면 하중 작용 시 미끄러져 탈락할 수 있다.
  • 양단부 견고한 고정: 동바리의 양단은 미끄러짐이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 못, 용접, 전용 철물 등을 사용하여 지지물에 확실하게 고정해야 한다.  
  • 횡 방향 변위 방지 조치: 나란히 설치된 보 형식 동바리들 사이에는 수평연결재를 설치하거나 추가 동바리를 설치하여, 타설 하중 작용 시 옆으로 넘어지거나 뒤틀리는 현상(횡좌굴)을 방지해야 한다.  
  • 설계 도서 준수: 보의 종류, 규격, 설치 간격, 이음 및 접합 방법 등 모든 시공 절차는 승인된 설계 도면과 시방서를 철저히 따라야 한다.  
  • 지지 구조물 강도 확인: 보 형식 동바리를 지지하는 영구 구조물(벽체, 보 등)이 동바리와 상부 콘크리트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했는지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