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지도사 2025년 2차 논술 문제(개인적인 답안)

by 안녕안녕~ 2025. 9. 27.
728x90
반응형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내용에서 건물 등의 해체작업 시 작업계획서 내용 5가지만 쓰시오.      (단, 그 밖에 안전ᆞ 보건에 관련된 사항은 제외함)

  • 해체의 방법 및 해체 순서도면
  • 가설설비, 방호설비, 환기설비, 살수설비, 방화설비 등의 방법
  • 사업장 내 연락방법
  • 해체물의 처분계획
  • 해체작업용 기계기구 등의 작업계획서
  • 해체작업용 화약류 등의 사용계획서
  • 그 밖에 안전보건에 관한 사항

 

해당문제에 관련된 추가 공부자료

 - 구축물등이 해체 작업의 의무사항(산업안전보건기준 제38조)

  1. 사전조사: 작업장 및 구축물의 지형, 지반 상태 등에 관한 조사
  2. 작업계획서 작성: *별표4_작업계획서의 구분에 따른 사항
  3. 계획서 준수 및 주지: 계획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며 근로자에게 알려야 함

 - 해체 작업 시 관리감독자의 직무(산업안전보건기준 별표2)

  1. 안전한 작업방법을 결정하고 작업을 지휘하는 일
  2. 재료기구의 결함 유무를 점검하고 작업을 지휘하는 일
  3. 작업 중 안전대 및 안전모 등 보호구 착용 상황을 감시하는 일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이동식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사업주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 5가지만 쓰시오.

  • 바퀴 고정 및 전도 방지: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 방지를 위해 브레이크나 쐐기등을 사용하여 바퀴 고정
  • 구조물 고정: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아웃트리거를 설치
  • 승강설비: 견고하게 설치
  • 최상부에서 작업시 안전난간 설치
  • 작업발판의 안정성 유지: 수평 유지 / 작업발판 위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행위 금지
  • 최대 적재 하중 제한: 25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당문제에 관련된 추가 공부자료

 - 비계의 일반 원칙

  1. 재료 기준: 재료의 변형, 부식 또는 심하게 손상된 것을 사용 하면 아니됨.
  2. 작업발판의 구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며 폭은 40센티미터 이상으로 하고 틈은 3센티미터 이하로 유지
  3. 최대 적재 하중: 비계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최대적재하중 준수!

 - 기타 비계 유형의 비교

  1. 말비계: 지주 부재 하단에 미끄럼 방지 장치 설치 / 지주 부재와 수평면의 기울기는 75도 이하 / 높이가 2미터 이상인 경우 작업발판의 폭은 40센티미터 이상
  2. 이동식비계: 바퀴 고정 및 아웃트리거 설치를 통한 수평,전도 방지가 핵심 / 최대 적재하중 250킬로미터 / 작업발판 위 2차 작업 금지

 

3.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상 사업주는 위험성의 수준이 허용 가능한 위험성의 수준인지 결정한 결과허용 가능한 위험성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위험성의 수준, 영향을 받는 근로자 수 및 순서를 고려하여 위험성 감소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여야 한다. 위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에 있어 고려하여야 할 순서에 포함되는 사항 4가지만 쓰시오.

  • 제거 및 대체(Elimination & Substitution)

       ▪ 유해물질 취급 시 해당 물질의 저장 및 취급량을 최소화하는 조치

  • 공학적 대책(Engineering Controls)
        ▪ 밀폐, 환기, 국소배기장치 설치: 가스등의 발산을 억제하기 위한 밀폐 설비, 국소배기장치나 전체환기장치 설치.
        ▪ 방호 장치 설치: 기계의 회전축, 기어 등에 덮개, 울 등을 설치.
        ▪ 방폭 구조 설치: 폭발 위험 장소에 적합한 방폭성능을 갖는 전기 기계·기구를 설치
 
  • 관리적 대책(Administrative Controls)
        ▪ 작업계획서 작성/주지: 고위험 작업 시 작업계획서 작성 및 근로자에게 주지.
        ▪ 출입 금지/격리: 위험 장소에 관계 근로자 외 출입 금지 및 경고표지 부착.
        ▪ 작업 지휘자 지정: 리프트 조립/해체 등 고위험 작업 시 지휘자 지정 및 지휘하에 작업 실시.
        ▪ 정지 및 잠금 장치: 기계 정비·청소 시 운전 정지 및 잠금장치 사용.
 
  • 개인 보호구 사용(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 추락 위험: 안전모, 안전대 착용.
        ▪ 화학물질 위험: 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보호복, 보호장갑 지급 및 착용.
        ▪ 고열 위험: 방열복 착용.
 

해당문제에 관련된 추가 공부자료

 - 위험성평가의 심화:ALARP 원칙

  • ALARP(As Low As Reasonalbly Practicable)원칙에서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수준까지 위험을 낮추어야 한다는 의미로 절대적인 안전은 불가능하다는 현실은 인정하되, 기술적으로나 비용적으로 현저한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 한 남아있는 잔여 위험(Residual Risk)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를 담고 있는것
  • 위험성평가 과정에서 특정 위험이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추가적인 노력을 통해 더 낮출 수 있다면 해야한다!!!

 

4. 건설업 유해ᆞ위험방지계획서 중 지도사가 평가ᆞ확인 할 수 있는 대상 건설공사의 범위 및 지도사의 요건중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알맞은 것을 쓰시오.

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제44조제4항의 규정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 이 정하는 건설공사의 경우”라 함은 다음 각목의 건설공사로 한다.

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제42조제2항제1호에 따른 지상높이가 ( ᄀ )미터 이상인 건축물 중 지상높이가 ( ᄂ )미터 이하인 아파트 건설공사   ※ 아파트의 범위는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제2호가목에 따름
나.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2조제2항제6호에 따른 깊이 ( ᄃ )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중 깊이가 ( ᄅ )미터 이하인 굴착공사

  • ㄱ: 31
  • ㄴ: 50
  • ㄷ: 10
  • ㄹ: 15

 

해당문제에 관련된 추가 공부자료

 - 붕괴에 대한 간략한 이해

  • 보일링(Boiling): 투수성이 좋은 사질토 지바나에서 흙막이벽 내외부의 수위 차로 인해 상향으 침투수압이 발생하여, 굴착 바닥면의 흙 입자가 물과 함께 솟구쳐 오르는 현상.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는 흙막이벽 불투수층까지 깊게 설치하거나, 웰 포인트 등으로 지하수위를 낮추는 것이 핵심!
  • 히빙(Heaving): 연약한 점토 지반에서 굴착 배면의 흙 무게가 굴착 바닥면 아래 지반의 지지력보다 클 때, 바닥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대책으로는 흙막이벽 근입장을 깊게 하여 저항력을 높이거나, 굴착 배녀의 하중을 줄이는 것!
  • 파이핑(Piping): 흙막이벽의 결함 부위(이음새. 구멍 등)를 통해 물이 집중적으로 침투하면서 파이프 형태로 물길이 생기고, 이 길을 따라 토사가 유출되어 공동이 발생하는 현상. 대책으로는 수밀성이 높은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벽면의 이음새를 철저히 시공하는 것.

 

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추락의 방지에서 사업주는 작업발판 및 추락방호망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3개 이상의 버팀대를 가지고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이동 식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게 할 수있다. 이 경우 사업주가 근로자 에게 준수하도록 조치해야 할 사항 중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알맞은 것을 쓰시오. 

○ 이동식 사다리의 제조사가 정하여 표시한 이동식 사다리의 ( ᄀ )을 초과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사용할 것
○ 이동식 사다리를 설치한 바닥면에서 높이 ( ᄂ )미터 이하의 장소에서만 작업할 것
○ 안전모를 착용하되, 작업 높이가 ( ᄃ )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안전모와 안 전대를 함께 착용할 것

  • ㄱ: 최대적재하중
  • ㄴ: 3.5
  • ㄷ: 2

 

해당문제에 관련된 추가 공부자료

 - 이동식 사다리 사용 준수 사항

  1. 높이 제한: 이동식 사다리 설치한 경우 바닥면에서 3.5미터 이하의 장소에서만 작업
  2. 탑승위치 제한: 최상부 발판 및 그 하단 디딤대에 올라서서 작업 금지 / 단, 높이가 1미터 이하인 사다리는 제외
  3. 보호구 착용 의무: 안전모 착용 기본, 작업 높이 2미터 이상인 경우 안전대와 안전모 착용
  4. 점검 의무: 이동식 사다리의 변형 및 이상 유무등을 점검

 

6. 철골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상 철골공사안전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물음 1) 설계도 및 공작도 확인에서 건립 중 강풍에 의한 풍압등 외압에 대한 내력이 설계에 고려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하는 구조안전의 위험이 큰 철 골구조물 5가지만 쓰시오.

  • 높이 20미터 이상인 구조물: 
  •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4 이상으로 세장한 구조물
  • 단면 구조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구조물
  • 연면적당 철골량이 50kg/m² 이하인 구조물
  • 기둥이 타이빔 또는 수평 브레이스가 없는 구조물
  • 이음부가 현장용접인 구조물
  • 벽체 또는 바닥 슬래브가 없는 등 가설 상태의 구조물로서 불안정한 구조물

물음 2) 기둥건립에서 철골기둥을 인양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 5가지만 쓰시오.

  • 인양 전에 설치 장소의 장애물 유무 확인 및 정리정돈 실시
  • 인양장비의 허용하중, 작업반경 등을 확인
  • 일정한 신호방법 선정 및 신호수 배치
  • 인양물의 무게중심 위치를 정확히 확인
  • 기둥 인양시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서 인양
  • 인양용 와이어로프는 2줄 걸이를 원칙
  • 와이어로프가 기둥에서 미끄러질 우려가 없는 위치에 결속하거나 샤클 등 전용 철물 사용
  • 기둥의 흔들림이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유도로프(보조 로프) 사용

물음 3) 보의 조립에서 철골보의 설치 시 준수할 사항 5가지만 쓰시오.

  • 작업자는 안전대를 설치된 구명줄에 체결
  • 인양용 와이어로프는 2줄 걸이를 원칙
  • 보의 흔들림이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유도로프(보조 로프) 사용
  • 철골보가 제자리에서 설치되면 즉시 가조립용 볼트로 2곳 이상 체결
  • 가조립용 볼트 체결 등 연결이 완전히 끝나기 전에는 인양용 와이어로프를 해체 금지
  • 볼트 구멍이 맞지 않을 경우 무리하게 구멍을 넓히거나 부재를 변형하지말고 책임자의 지시에 따름
  • 설치 후 보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검토하고 고정 상태를 확인
  • 보 연결부의 볼트 체결 상태 및 용접 부위 점검
  • 추락 방지 조치의 선행
  • 작업자 간 명확한 신호 및 협업
  • 신속하고 정확한 가볼트 체결
  • 공구 및 부재 낙하 방지 조치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대상 건설공사에서 첨부서류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물음 1) 공사개요 및 안전관리계획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 5가지만 쓰시오.

  • 공사 개요서(별지 제101호 서식)
  • 공사현장의 주변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매설물 포함)
  •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 전체 공정표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서(별지 제 102호 서식)
  • 안전관리 조직표
  •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물음 2) 작업 공사 종류별 유해위험방지계획 중 건축물 또는 시설 등의 건설ᆞ개조 또는 해체(이하 “건설등”이라 한다) 공사에서 주요 작성대상 5가지만 쓰시오.

  • 비계 조립 및 해체 작업(외부 비계 및 높이 3미터 이상 내부 비계만 해당)
  • 높이 4미터를 초과하는 거푸집과 동바리
  •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조립 및 해체 작업
  • 철골 및 PC(Precast Con'c) 조립 작업
  • 양중기 설치ㆍ연장ㆍ해체 작업ㆍ천공ㆍ항타 작업
  • 밀폐공간 내 작업
  • 해체 작업
  • 우레탄폼 등 단열재 작업[취급 장소와 인접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화기 작업 포함]
  • 같은 장소(출입구를 공동으로 사용)에서 둘 이상의 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작업

물음 3) 작업 공사 종류별 유해위험방지계획 중 다리 건설등의 공사에서 주요 작성 대상(상부공과 하부공을 포함) 5가지만 쓰시오. 

하부공작업 상부공작업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조립 및 해체 압출공법(ILM)
양중기 설치ㆍ연장ㆍ해체 및 천공ㆍ항타 작업 캔틸레버공법(FCM)
교대ㆍ교각 기초 및 벽체 철근 조립 작업 동바리설치 공법(FSM)
해상ㆍ하상 굴착 및 기초 작업 이동지보공법(MSS)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가설공법(PSM)

 

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건설작업 등에 의한 위험 예방에서 콘크 리트 타설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물음 1)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가 준수해야 하는 사항 5가지만 쓰시오.

  • 당일 작업 시작 전에는 거푸집 및 동바리 변형, 변위, 지반 침하 유무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 작업 중에는 거푸집 및 동바리 변형, 변위, 침하를 감시할 감시자를 배치하고 이상 시 작업 중지 및 근로자 대피
  • 거푸집 붕괴 위험이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 할 것.
  •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 콘크리트 타설 시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할 것

물음 2)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placing boom), 콘크리트 분배기, 콘크리트 펌프카 등을 사용하는 경우 사업주가 준수해 야 하는 사항 4가지만 쓰시오. 

  • 작업 시작 전 콘크리트 펌프용 비계 등 점검 및 보수
  • 호스의 요동ㆍ선회로 인한 근로자 추락 위험 방지 조치
  • 붐 조정 시 주변 전선 등에 의한 위험 예방 조치
  • 지반 침하, 아웃트리거 손상 등으로 인한 장비 전도 방지

 

9. 굴착공사 표준안전 작업지침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물음 1) 지질조사 등에서 기본적인 토질에 대한 사전 조사 시 기준으로 하는 조사 내용 5가지만 쓰시오.

  • 지형ㆍ지질ㆍ지층의 상태
  • 균열ㆍ함수ㆍ용수 및 동결의 유무 또는 상태
  • 매설물 등의 유무 또는 상태
  • 지반의 지하수위 상태
  • 주변 구조물의 균열 및 침하 현황

물음 2) 부석 등의 처리 내용 중 토석붕괴 외적원인 6가지와 내적원인 3가지를 쓰시오.

외적 요인 내적 요인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절토 사면의 토질 및 암질의 불안정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 성토 사면의 다양한 토질구성으로 내부 결합력 저하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 하중의 증가 성토 사면 다짐 불량
지표수 및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 중량 증가 토석의 강도 저하
지진, 차량, 구조물의 하중 증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지층이 섞여 경계면이 활동면으로 변화  

물음 3) 부석 등의 처리 내용 중 토사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점검하여야 하는 사항 6가지만 쓰시오.

  • 용수 발생 유무 및 변동 상황
  • 균열 및 침하 유무
  • 경사면의 지층 변화부 상황
  • 보강재(흙막이 지보공 등)의 변형 및 부식 상황
  • 전 지표면의 답사
  • 결빙과 해빙에 대한 조치 상태

 

해당문제에 관련된 추가 공부자료

 - 건설현장 중대재해 통계 및 사례

  • 재해현황: 건설업은 전 산업 중 사고사망자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재해 위험이 높으며, 특히 50억 미만의 소규모 현장에서 사망사고의 약 48%가 발생하여 안전관리의 사각지대로 남음. 사고 유형별로는 추락이 절반 이상이고, 깔림/붕괴/낙하 등의 사고가 많이 발생
  • 주요 사고
  • 화재 폭발: 2020년 이천 물류센터 화재(사망 38명) 지하 우레탄폼 단열재 작업과 용접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다 용접 불티가 발생했으며 이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에서 화기 작업과 가연성 물질 취급 작업을 동시에 할 경우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이유를 명확히 함.
  • 붕괴: 2022년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는 콘크리트 타설 중 하부 동바리 미설치 등 지지력 부족으로 인해 16개 층이 연쇄적으로 붕괴한 사고이며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동바리의 점검 및 보강, 양생기간 준수 규정이 생명과 직결되는지 보여주는 사례

 

여기 까지 작성을 해보았습니다. 분명 여기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잘못된 자료가 있다고 한다면 누구나 언제든 의견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728x90
반응형